앨범 정보
-
- 전해옥가야금병창 '회향'
- 전해옥
- 앨범 평점 5/ 1명
- 발매일 : 2020.03.30
- 발매사 : (주)디지탈레코드
- 기획사 : (주)디지탈레코드
전해옥 가야금병창 ‘회향’
가야금병창은 단가나 판소리 중의 한 대목, 또는 민요 등을 가야금 선율에 맞추어 연주하는 형태로 노래와 반주를 한 사람이 겸한 것으로 창이 주가 되고 가야금은 부가 되며 주로 장구반주에 맞추어 연주한다. 기원은 조선후기 가야금산조가 발생할 무렵 함께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며 당시 가야금산조로 이름을 떨치던 연주가들 가운데 김창조(金昌祖)와 박팔괘(朴八卦) 등에 의하여 병창이 시도 되었으며 이후 오태석, 박귀희, 장월중선, 정달령 등에 의해 전해져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 23호로 지정되어 오늘날 국가와 지방으로 구분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명칭이 변경되며 문화재청과 국립무형유산원 등의 관리 하에 전승 및 보존 · 발전되어 오고 있다.
현재 가야금병창의 국가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로는 안숙선, 강정렬, 강정숙이 있으며 이 중 강정숙 보유자의 계보에서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전해옥이 가야금병창의 구성지면서도 고풍스런 멋을 이어 나가고자 전통 가야금병창을 기반으로 한 정규음반을 첫 선보인다.
이 번 음반은 2019년 제 29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전해옥의 국악 인생을 돌아보고 사랑하는 가족과 훌륭한 가르침을 주신 스승님들을 비롯하여 그동안 자신을 아끼고 응원해 준 많은 분들에 대한 고마움의 답례로 받은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되돌려 드리고자 ‘회향’ 이라는 타이틀로 앨범을 기획하였다. 프로그램은 단가 ‘백발가’와 판소리 흥보가 중 ‘구만리~제비노정기’, 적벽가 중 ‘화용도’와 같이 그녀가 즐겨 부르던 전통 가야금병창곡과 기존의 판소리에 가야금을 얹어서 새롭게 병창으로 만든 ‘군사설움타령’, 그리고 ‘액맥이타령’과 ‘반야심경’과 같이 아직 가야금병창 음반으로 미발매 된 곡들을 편작업하여 레코딩하였다. 또한 이 번 작업을 통해 전통 가야금병창의 다양한 음원 기록은 물론 가야금병창의 새로운 레퍼토리 개발 및 대중화에도 일조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제작하였다.
특히 흥보가 중 ‘구만리~제비노정기’ 대목과 ‘액맥이타령’, 그리고 ‘반야심경’은 대금과 아쟁의 수성반주에 맞춰 연주하여 더욱 풍성한 음악적 구현을 하였고 사설표현에 있어서 극적인 효과를 이끌어 냈다. 이 중 반야심경은 불교경전을 노래한 만큼 장구 반주가 아닌 목탁에 맞추어 연주하여 불교적인 색채를 가미하였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이자 스승 강정숙 명인이 작곡과 더불어 특별 연주하여 사제지간의 깊은 정과 사랑이 느껴지는 듯하다.
전해옥 가야금병창 ‘회향’ 앨범이 앞으로 국악을 사랑하는 많은 이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는 명반으로 남길 희망하며, 그녀의 메시지를 전한다...
“소리에 마음을 담고 가야금에 향기를 실어 귀한 당신께 회향합니다.”
[전해옥 프로필]
학력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3년조기 · 수석 졸업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국악학과 졸업
주요경력
국립남도국악원 성악부 단원 역임
전해옥가야금병창 ‘심향’ 발표회
전해옥가야금병창 ‘현의놀음’ 발표회
전해옥가야금병창 ‘여운’ 발표회
국악릴레이콘서트 ‘청춘국악판 - 전해옥가야금병창’ 초청발표회 외 다수
KBS국악관현악단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 서초교향악단 가야금병창 협연TJB교향악단 25현가야금 3중주 협연, 과천시립교향악단 협연 외 다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예술강사 역임
전주예중, 전주예고, 대전시민대학 출강 역임
TJB화첩기행 / TJB생방송투데이 ‘전해옥의 문화는 아름다워’ 진행 역임
수상이력
제 29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대통령상 수상
제 40회 전주대사습놀이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장원 수상
제 35회 남원춘향국악대전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대상 수상
제 20회 KBS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차상 수상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이사
사단법인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이사
국악세계화연구소 이사
퓨전국악연대 가락타래 동인
KFBA 한국방송진행자연합 정회원
가야금병창그룹 소리디딤 대표
[트랙리스트 & 곡 해설]
1. 단가 '백발가' Dan-ga 'Beckbal-ga'
단가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푸는 짧은 노래로 덤덤하고 담백하게 부르는 장르이다. 이 곡은 백발이 되어보니 인생은 허무하고 세월의 덧없음을 일깨우고 누구나 늙어지면 죽음을 맞이하니 아름다운 세상 좋은 경치 구경하며 즐기며 살아가자는 의미의 중모리 장단의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2. 흥보가 중 '구만리‘ Heungbo-ga 'Gumanri'
구만리는 흥보가 중 한 대목으로 흥보가 제비 새끼의 다리가 부러진 것을 불쌍히 여겨 치료해 주고, 가을이 되어 강남으로 떠나야 하는 제비에게 따뜻한 봄이 되면 다시 찾아오라며 작별을 고하고 떠나보내는 대목을 진양장단으로 구슬프게 그린 대목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3. 흥보가 중 '제비점고 ~ 제비노정기' Heungbo-ga 'Jebi jeomgo ~ Jebi Nojeong-gi'
강남에 간 흥보의 제비가 저들의 왕에게 그간의 사정을 이야기하고 흥보에게 은혜를 갚게 해달라고 간청하는 중중모리 장단의 ‘제비점고’ 대목부터 흥보의 은혜를 입고 강남갔던 제비가 중국을 거쳐 흥보집에 돌아오는 노정과 박씨를 물어다주는 장면을 휘중중모리~중중모리 장단으로 그려낸 ‘제비노정기’ 대목 까지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4. 액맥이타령 Aeckmegi Taryeong
액맥이는 액땜, 액운을 막아낸다는 뜻으로 우리 선조들이 옛 부터 재난이나 질병을 물리치기 위해 동, 서, 남, 북, 중앙 오방의 장군에게 액운을 막아달라고 빌며 굿을 한데서 유래된 곡으로 정초에 마을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마당밟이 풍물굿을 하며 부른 노래이다. 전해옥이 직접 가야금병창으로 편작업 한 곡으로 구성지고 힘 있는 소리로 현대사회의 나쁜 기운과 전염병 등을 씻은 듯이 몰아내고 만복을 기원하며 굿거리와 자진모리장단으로 신명나게 풀어냈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5.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1‘ Jeokbyeok-ga 'Gunsa seol-um Taryeong 1‘
6.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2‘ Jeokbyeok-ga 'Gunsa seol-um Taryeong 2‘
중국소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적벽가 중 적벽대전을 앞두고 군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조조가 잔치를 베푸는 장면에서 전쟁터에 끌려온 군사들이 사랑하는 가족을 그리며 자신들의 설움을 토로하는 대목으로 Track 5는 중모리 장단, Track 6은 중중모리 장단으로 그려졌다. 김일구 명인의 박봉술제 적벽가에 가야금 가락을 더해 전해옥이 2016년 가야금병창으로 첫 선보인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7. 적벽가 중 '화용도' Jeokbyeok-ga 'Hwaryong-do'
중국소설 삼국지연의 중에서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판소리로 재창조 한 것으로 5바탕 중에서 가장 드라마틱하고 음악적 밀도가 뛰어난 대목이다. 화용도 대목은 제갈공명이 동남풍을 비는 대목에서 부터 제갈공명을 죽이고자 쫓아오는 오나라 장수들과 공명을 보호하여 오나라를 탈출하려는 조자룡 간의 쫓고 쫓기는 긴박한 추격전을 웅장하고 박진감 넘치게 노래한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8. 반야심경 (작곡_강정숙) Ban-ya shim gyeong
이 곡은 불교경전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강정숙명인이 가야금 선율에 얹어 작곡한 곡으로 욕심 없이 바르고 참 된 마음, 걸림 없고 공포 없는 마음, 스스로를 낮추고 교만하지 않는 마음,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부정을 넘는 대긍정의 마음으로 평화롭고 경건하게 부르는 곡으로 중모리 장단으로 시작하여 중중모리 - 엇모리 - 중중모리 장단으로 진행되며 선후창을 합창과 함께 나누어 불러 웅장하고 비장함이 느껴지는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 합창 사)가야금병창보존회원
※ 특별초청 강정숙(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 도움주신 분 ]
▪ 고수 : 김청만 KIM CHUNG MAN
· 국가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지도위원 역임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예술감독 역임
· 사단법인 일통고법보존회 이사장
· 2007년 보관문화훈장 서훈
▪ 대금 : 원완철 WON WAN CHUL
· 제 5회 전국국악대전 대통령상 수상
· 2004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2016 KBS국악대상 연주 관악상
· 한국민속음악연구회 회장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악장
▪ 아쟁 : 윤서경 YUN SEO KYUNG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 한국전통음악 창작집단 4인놀이 대표
· 월드뮤직 그룹 바이날로그 동인
· 한국민속음악연구회 동인
★ 특별출연 (Special Invitation)
▪ 가야금병창 : 강정숙 KANG JUNG SOOK
·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 제 11회 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병창 장원
· 제 4회 신라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 대통령상 수상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역임
·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이사장
▪ 합 창 :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원 GAYAGEUM BYEONGCHANG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 CREDIT ]
Gayageum Byeongchang 전해옥 Jeon Hai-ok
Jang-Gu 김청만 Kim Chung-man
Dae-Geum 원완철 Won Wan-chul
A-Jaeng 윤서경 Yun Seo-kyung
Special Guest 강정숙 Kang Jung-sook
Chorus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원 GAYAGEUM BYEONGCHANG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Balance Engineer 최정훈 Choi Jung-hoon
Recording Engineer 김용섭 Kim Yong-seob, 위조훈 Wi Jo-hun
A&R 정한나 Jeong Han-nah
Recorded and Mastered at Audioguy Studio, Seoul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
가야금병창은 단가나 판소리 중의 한 대목, 또는 민요 등을 가야금 선율에 맞추어 연주하는 형태로 노래와 반주를 한 사람이 겸한 것으로 창이 주가 되고 가야금은 부가 되며 주로 장구반주에 맞추어 연주한다. 기원은 조선후기 가야금산조가 발생할 무렵 함께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며 당시 가야금산조로 이름을 떨치던 연주가들 가운데 김창조(金昌祖)와 박팔괘(朴八卦) 등에 의하여 병창이 시도 되었으며 이후 오태석, 박귀희, 장월중선, 정달령 등에 의해 전해져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 23호로 지정되어 오늘날 국가와 지방으로 구분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명칭이 변경되며 문화재청과 국립무형유산원 등의 관리 하에 전승 및 보존 · 발전되어 오고 있다.
현재 가야금병창의 국가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로는 안숙선, 강정렬, 강정숙이 있으며 이 중 강정숙 보유자의 계보에서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전해옥이 가야금병창의 구성지면서도 고풍스런 멋을 이어 나가고자 전통 가야금병창을 기반으로 한 정규음반을 첫 선보인다.
이 번 음반은 2019년 제 29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전해옥의 국악 인생을 돌아보고 사랑하는 가족과 훌륭한 가르침을 주신 스승님들을 비롯하여 그동안 자신을 아끼고 응원해 준 많은 분들에 대한 고마움의 답례로 받은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되돌려 드리고자 ‘회향’ 이라는 타이틀로 앨범을 기획하였다. 프로그램은 단가 ‘백발가’와 판소리 흥보가 중 ‘구만리~제비노정기’, 적벽가 중 ‘화용도’와 같이 그녀가 즐겨 부르던 전통 가야금병창곡과 기존의 판소리에 가야금을 얹어서 새롭게 병창으로 만든 ‘군사설움타령’, 그리고 ‘액맥이타령’과 ‘반야심경’과 같이 아직 가야금병창 음반으로 미발매 된 곡들을 편작업하여 레코딩하였다. 또한 이 번 작업을 통해 전통 가야금병창의 다양한 음원 기록은 물론 가야금병창의 새로운 레퍼토리 개발 및 대중화에도 일조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제작하였다.
특히 흥보가 중 ‘구만리~제비노정기’ 대목과 ‘액맥이타령’, 그리고 ‘반야심경’은 대금과 아쟁의 수성반주에 맞춰 연주하여 더욱 풍성한 음악적 구현을 하였고 사설표현에 있어서 극적인 효과를 이끌어 냈다. 이 중 반야심경은 불교경전을 노래한 만큼 장구 반주가 아닌 목탁에 맞추어 연주하여 불교적인 색채를 가미하였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이자 스승 강정숙 명인이 작곡과 더불어 특별 연주하여 사제지간의 깊은 정과 사랑이 느껴지는 듯하다.
전해옥 가야금병창 ‘회향’ 앨범이 앞으로 국악을 사랑하는 많은 이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는 명반으로 남길 희망하며, 그녀의 메시지를 전한다...
“소리에 마음을 담고 가야금에 향기를 실어 귀한 당신께 회향합니다.”
[전해옥 프로필]
학력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3년조기 · 수석 졸업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국악학과 졸업
주요경력
국립남도국악원 성악부 단원 역임
전해옥가야금병창 ‘심향’ 발표회
전해옥가야금병창 ‘현의놀음’ 발표회
전해옥가야금병창 ‘여운’ 발표회
국악릴레이콘서트 ‘청춘국악판 - 전해옥가야금병창’ 초청발표회 외 다수
KBS국악관현악단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 서초교향악단 가야금병창 협연TJB교향악단 25현가야금 3중주 협연, 과천시립교향악단 협연 외 다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예술강사 역임
전주예중, 전주예고, 대전시민대학 출강 역임
TJB화첩기행 / TJB생방송투데이 ‘전해옥의 문화는 아름다워’ 진행 역임
수상이력
제 29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대통령상 수상
제 40회 전주대사습놀이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장원 수상
제 35회 남원춘향국악대전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대상 수상
제 20회 KBS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가야금병창부문 차상 수상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이사
사단법인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이사
국악세계화연구소 이사
퓨전국악연대 가락타래 동인
KFBA 한국방송진행자연합 정회원
가야금병창그룹 소리디딤 대표
[트랙리스트 & 곡 해설]
1. 단가 '백발가' Dan-ga 'Beckbal-ga'
단가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푸는 짧은 노래로 덤덤하고 담백하게 부르는 장르이다. 이 곡은 백발이 되어보니 인생은 허무하고 세월의 덧없음을 일깨우고 누구나 늙어지면 죽음을 맞이하니 아름다운 세상 좋은 경치 구경하며 즐기며 살아가자는 의미의 중모리 장단의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2. 흥보가 중 '구만리‘ Heungbo-ga 'Gumanri'
구만리는 흥보가 중 한 대목으로 흥보가 제비 새끼의 다리가 부러진 것을 불쌍히 여겨 치료해 주고, 가을이 되어 강남으로 떠나야 하는 제비에게 따뜻한 봄이 되면 다시 찾아오라며 작별을 고하고 떠나보내는 대목을 진양장단으로 구슬프게 그린 대목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3. 흥보가 중 '제비점고 ~ 제비노정기' Heungbo-ga 'Jebi jeomgo ~ Jebi Nojeong-gi'
강남에 간 흥보의 제비가 저들의 왕에게 그간의 사정을 이야기하고 흥보에게 은혜를 갚게 해달라고 간청하는 중중모리 장단의 ‘제비점고’ 대목부터 흥보의 은혜를 입고 강남갔던 제비가 중국을 거쳐 흥보집에 돌아오는 노정과 박씨를 물어다주는 장면을 휘중중모리~중중모리 장단으로 그려낸 ‘제비노정기’ 대목 까지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4. 액맥이타령 Aeckmegi Taryeong
액맥이는 액땜, 액운을 막아낸다는 뜻으로 우리 선조들이 옛 부터 재난이나 질병을 물리치기 위해 동, 서, 남, 북, 중앙 오방의 장군에게 액운을 막아달라고 빌며 굿을 한데서 유래된 곡으로 정초에 마을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마당밟이 풍물굿을 하며 부른 노래이다. 전해옥이 직접 가야금병창으로 편작업 한 곡으로 구성지고 힘 있는 소리로 현대사회의 나쁜 기운과 전염병 등을 씻은 듯이 몰아내고 만복을 기원하며 굿거리와 자진모리장단으로 신명나게 풀어냈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5.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1‘ Jeokbyeok-ga 'Gunsa seol-um Taryeong 1‘
6.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2‘ Jeokbyeok-ga 'Gunsa seol-um Taryeong 2‘
중국소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적벽가 중 적벽대전을 앞두고 군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조조가 잔치를 베푸는 장면에서 전쟁터에 끌려온 군사들이 사랑하는 가족을 그리며 자신들의 설움을 토로하는 대목으로 Track 5는 중모리 장단, Track 6은 중중모리 장단으로 그려졌다. 김일구 명인의 박봉술제 적벽가에 가야금 가락을 더해 전해옥이 2016년 가야금병창으로 첫 선보인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7. 적벽가 중 '화용도' Jeokbyeok-ga 'Hwaryong-do'
중국소설 삼국지연의 중에서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판소리로 재창조 한 것으로 5바탕 중에서 가장 드라마틱하고 음악적 밀도가 뛰어난 대목이다. 화용도 대목은 제갈공명이 동남풍을 비는 대목에서 부터 제갈공명을 죽이고자 쫓아오는 오나라 장수들과 공명을 보호하여 오나라를 탈출하려는 조자룡 간의 쫓고 쫓기는 긴박한 추격전을 웅장하고 박진감 넘치게 노래한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8. 반야심경 (작곡_강정숙) Ban-ya shim gyeong
이 곡은 불교경전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강정숙명인이 가야금 선율에 얹어 작곡한 곡으로 욕심 없이 바르고 참 된 마음, 걸림 없고 공포 없는 마음, 스스로를 낮추고 교만하지 않는 마음,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부정을 넘는 대긍정의 마음으로 평화롭고 경건하게 부르는 곡으로 중모리 장단으로 시작하여 중중모리 - 엇모리 - 중중모리 장단으로 진행되며 선후창을 합창과 함께 나누어 불러 웅장하고 비장함이 느껴지는 곡이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고수 김청만 대금 원완철 아쟁 윤서경 ▪ 합창 사)가야금병창보존회원
※ 특별초청 강정숙(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 도움주신 분 ]
▪ 고수 : 김청만 KIM CHUNG MAN
· 국가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지도위원 역임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예술감독 역임
· 사단법인 일통고법보존회 이사장
· 2007년 보관문화훈장 서훈
▪ 대금 : 원완철 WON WAN CHUL
· 제 5회 전국국악대전 대통령상 수상
· 2004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2016 KBS국악대상 연주 관악상
· 한국민속음악연구회 회장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악장
▪ 아쟁 : 윤서경 YUN SEO KYUNG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 한국전통음악 창작집단 4인놀이 대표
· 월드뮤직 그룹 바이날로그 동인
· 한국민속음악연구회 동인
★ 특별출연 (Special Invitation)
▪ 가야금병창 : 강정숙 KANG JUNG SOOK
·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 제 11회 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병창 장원
· 제 4회 신라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 대통령상 수상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역임
·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이사장
▪ 합 창 :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원 GAYAGEUM BYEONGCHANG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 CREDIT ]
Gayageum Byeongchang 전해옥 Jeon Hai-ok
Jang-Gu 김청만 Kim Chung-man
Dae-Geum 원완철 Won Wan-chul
A-Jaeng 윤서경 Yun Seo-kyung
Special Guest 강정숙 Kang Jung-sook
Chorus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원 GAYAGEUM BYEONGCHANG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Balance Engineer 최정훈 Choi Jung-hoon
Recording Engineer 김용섭 Kim Yong-seob, 위조훈 Wi Jo-hun
A&R 정한나 Jeong Han-nah
Recorded and Mastered at Audioguy Studio,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