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MindfulnessⅡ-SANJO
박효진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0/ 0명
  • 발매일 : 2021.10.06
  • 발매사 : KDM
  • 기획사 : Hyojin Park
살아있는 전통에 대한 고민! 소리의 발견과 실험!
2016~2017년도의 공연을 음원화한 박효진의 정규 앨범 MindfulnessⅡ-SANJO 발매.


이번 앨범은 지난 달 공개된 ‘MindfulnessⅠ-TIME’에 이은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박효진의 ‘Mindfulness’는 ‘TIME’과 ‘SANJO’로 나뉘어 2CD로 발매됩니다. 전곡 자작곡으로 가득 채운 MindfulnessⅠ-TIME은 25현 가야금으로 ‘시간’에 대한 소리를 담아냈다면 이번 MindfulnessⅡ-SANJO에서는 전통음악 중 ‘산조’라는 장르 안에서 반복 속의 변화를 주며 ‘13현 산조 가야금’과 ‘양금’ 그리고 박효진의 ‘구음’을 즉흥적으로 풀어낸 곡이 담겨있습니다.

전체 24bit 96khz로 작업된 고음질 음원의 이번 정규앨범에서는 길어지는 팬데믹 속 나 자신을 돌아보고 온전히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보내면서 수년간 쌓아온 작업을 돌이켜보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앨범 전체 이야기가 흘러갈 수 있도록 2016년과 2017년에 만들어진 작품을 엄선하였습니다. 보다 예술적 깊이를 더한 결과물로 선보이고자 하는 자전적 앨범의 성격으로서 Mindfulness는 박효진의 음악적 터닝 포인트가 될 앨범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와 형식 안에서 풀어낸 총 14개의 트랙은 특히, 전통음악 중 백번을 타면 그 백번이 같을 수가 없는 ‘산조’가 지닌 즉흥성과 확장성을 구현해내는 방식으로 작업되었습니다. 박효진이 직접 제작한 13현 가야금과 양금으로 연주되는데 전곡 모두 녹음 당시의 즉흥적인 가락과 구음, 리듬의 요소가 포함됩니다. 또한 전해오는 산조는 기악 독주곡으로서 기능이 있지만 이번 앨범에서는 같은 공간에서 가야금과 가야금, 양금과 양금, 가야금과 구음 등의 뒤섞인 울림을 번갈아 담아보았습니다.


트랙의 처음과 끝에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가야금 산조 중 김병호류(트랙 1,2)와 성금연류(트랙13,14) 본래의 산조 가락과 연주법을 바탕으로 박효진의 가야금 연주와 함께 악기의 소리를 의성화한 구음이 더해졌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일정한 템포 -진양(35), 중중모리(143), 굿거리(143), 엇모리(143), 자진모리(112/146), 휘모리(232)- 를 두고, 긴 산조를 짧게 재편성했다는 것인데 이는 박효진 솔로 프로젝트(2016~2017)를 진행하며 선보인 산조sec. 성금연류, 김병호류, 최옥삼류 공연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앨범에 담긴 박효진의 김병호류, 성금연류 가야금 구음 산조는 초 단위 리듬을 반주로 삼고, 그 안에서 산조 고유의 자유로운 음 진행과 밀고, 끌고, 당기는 시김새를 잘 녹여내고 있습니다.

‘3,4,5,6’ 트랙은 전통에 현재적 시선을 더하여 미묘하고 복잡한 혼합 장단에 즉흥적인 요소가 어우러집니다. 해소하기 위한 소리를 찾는 과정이었던 박효진 첫 솔로 프로젝트(2016)에서 중심이 되었던 곡으로 ‘산조 1~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앨범의 제목과 같은 ‘산조’는 가야금과 장구, 가야금과 북, 가야금과 거문고, 가야금 솔로 등 여러 형태로 발표된 바 있으며, 이번 앨범에서는 그 흔적을 쫓아 박효진만의 허튼 가락으로 보다 자유롭게 표현하였습니다. 가곡에서 쓰이는 장단 위에 서도소리 산염불의 사설 ‘서산 낙조에 떨어지는 해는…’으로 시작하는 1악장 산염불, 발전된 가곡 장단과 가야금 연주 패턴이 반복되면서 점층적으로 쌓이고 그 위에 즉흥적인 가락으로 풀어낸 2악장 즉흥 허튼가락, 무속장단 중 드렁갱이와 도깨끼를 모티브로 하여 빠른 호흡으로 몰아가는 3악장 드렁갱이, 2악장의 패턴이 다시 반복되면서 박효진의 죽흥 연주와 구음으로 끝나는 4악장 푸너리, 푸너리란 본래 굿의 시작을 알리고 신을 청해 모시는 도입 기능을 하는 것인데 이번 앨범에서는 산조의 마지막 악장으로서 전 악장을 풀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18.09.서울시 국악 활성화 사업 우수작품육성 선정작 (가야금,소리:박효진,거문고:김주희,가야금:권다영)
-2018.09.인천시 트라이보울 초이스 선정작 (가야금,소리:박효진,거문고:김주희,가야금:권다영)
-2017.11.신진국악 실험무대 천차만별콘서트 개막 공연 (가야금,소리 박효진 단독 무대)
-2017.10.북촌우리음악축제 한옥스테이지 (가야금,소리:박효진,거문고:김주희)
-2016.11.신진국악 실험무대 천차만별콘서트 최우수상 선정작 (가야금,소리:박효진,장구:전지환)
-2016.10.서울시 국악 활성화 청춘열전 출사표 신진국악인 선정작 (가야금,소리:박효진,북:김건형)

트랙 ‘7,8,9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는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금 연주곡입니다. 황해도 여류 시인 노천명의 시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를 모티브로 하였고, 악기를 다루는 힘의 세기에 초점을 두어 단아하고 부드러운 듯 거친 긴장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채로 줄을 건드려 소리 내는 양금을 2악장에서는 가야금 연주하듯 손끝으로 직접 만지는 등 가야금 연주자가 다루는 양금 소리에 집중하여 작곡되었습니다.

트랙 ‘10’은 서도소리 중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는 수심가, 엮음 수심가를 모티브로 한 인생무상(Transience of life)이라는 곡입니다. 가야금과 서도소리 각각의 특징에 솔직하면서도 섬세하게 박효진만의 색깔을 입힌 곡으로 활발하고 경쾌한 느낌의 가야금 가락은 점점 리듬을 만들면서 쌓이게 됩니다. 그 반복되는 리듬과 가락 위에 녹음 당시 즉흥성이 가미된 자유로운 허튼 가락이 담겨있음은 물론, 후반에는 자연스럽게 ‘유유창천(悠悠蒼天)은 호생지덕(好生之德)인데..’라고 시작하는 엮음 수심가의 사설을 그대로 읊어 보았습니다.

‘11,12’트랙 축원문은 ‘트랙‘3~6 산조 제 1악장~ 제 4악장’과 마찬가지로 해소하기 위한 소리를 찾는 과정이었던 박효진 솔로 프로젝트(2016)에서 처음 발표되었던 곡입니다. 당시, 가야금을 타악기로 여기면서부터 작업이 이루어졌던 곡으로 이전 트랙 ‘인생무상’과 같이 가야금을 반주로 삼아 가야금 연주 위에 가야금을 연주했습니다. 1악장에서는 음과 양, 맺음과 풀림의 정서 속에서 나타나는 공감 또는 대립을 끄집어내고 2악장 후반에 가서 담담하게 소원을 비는 소리로 풀어내며 여운을 주는 곡입니다.


01. 박효진 가야금 구음 산조 (김병호류 진양-중중모리-엇모리)
Park Hyo-Jin Gayageum Sanjo (Kim Byeong-Ho Ryu Jinyang-Jungjungmori-Eotmori)
02. 박효진 가야금 구음 산조 (김병호류 자진모리-진양)
Park Hyo-Jin Gayageum Sanjo (Kim Byeong-Ho Ryu Jajinmori-Jinyang)
03. 산조 제 1악장 산염불
SanJo Part1. SanYeomBul
04. 산조 제 2악장 즉흥 허튼가락
SanJo Part2. Impromptu Heoteun Garak
05. 산조 제 3악장 드렁갱이
SanJo Part3. Deureonggaengi
06. 산조 제 4악장 푸너리
SanJo Part4. Puneori
07.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 제 1악장
Be A Nameless Woman Part1
08.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 제 2악장
Be A Nameless Woman Part2
09.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 제 3악장
Be A Nameless Woman Part3
10. 인생무상
Transience of life
11. 축원문 제 1악장
A written prayer Part1.
12. 축원문 제 2악장
A written prayer Part2.
13. 박효진 가야금 구음 산조 (성금연류 진양-굿거리)
Park Hyo-Jin Gayageum Sanjo (Seong Geum-Yeon Ryu Jinyang-Gutgeori)
14. 박효진 가야금 구음 산조 (성금연류 자진모리-휘모리-진양)
Park Hyo-Jin Gayageum Sanjo (Seong Geum-Yeon Ryu Jajinmori–Hwimori-Jinyang)


All Instrument and voice Hyojin Park
Produced by Hyojin Park
Composed & Arranged by Hyojin Park
Recording Union Studio
Mixing & Mastering engineer B.A. Wheeler
Artwork Design by Hyojin Park
Special thanks to Gunhyung Kim. Jihwan Jeon, Juhee Kim, Dayoung Kwon.
Distributed by KDM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