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
- 이준아 12가사집
- 이준아
- 앨범 평점 0/ 0명
- 발매일 : 2021.11.24
- 발매사 : 사운드리퍼블리카
- 기획사 : 어그레오
가사(歌詞)는 조선 후기 양반과
중인 등의 지식인 계층이 풍류방에서
향유하던 성악곡으로
오늘날 가곡·시조와 함께
정가(正歌)로 불린다.
노래의 품격을 중시하면서도
가사체(歌詞體)의 긴 사설을
노랫말로 사용함으로
자유분방하며 기교적이다.
오늘날 전승되는 12가사(十二歌詞)는
〈춘면곡〉(春眠曲)·〈백구사〉(白鷗詞)·
〈황계사〉(黃鷄寺)·〈죽지사〉(竹枝詞)·
〈양양가〉(襄陽歌)·〈어부사〉(漁父詞)·
〈길군악〉·〈상사별곡〉(想思別曲)·
〈권주가〉(勸酒歌)·
〈수양산가〉(首陽山歌)·
〈처사가〉(處士歌)·〈매화가〉(梅花歌)이다.
전승하기 힘든 ‘가사’ 종목을
더 제대로, 그리고 잘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Credit
보컬 by 이준아 Lee Jun Ah Music Producer by 이준아 Lee Jun Ah
대금 by 박장원 Park Jang Wonh
피리 by 김성준 Kim Sung Joon, 윤형욱 Yoon Hyoung Wook
해금 by 류은정 You Eun Jeong, 전은혜 Chun Eun Hye
가야금 by 유연숙 Yoo Youn Suk, 이유나 Lee You Na
거문고 by 이방실 Lee Bang Sil, 고보석 Ko Bo Suk
장구 by 박거현 Park Geo Hyun, 홍석복 Hong Seok Bok
Recording Studio by 빅스톤스튜디오 Bigstone Studio
Recording Engineer by 장우균 Jang Woo Kyun
Mixed by 장우균 Jang Woo Kyun
Mastered by 장우균 Jang Woo Kyun
Cover Design by JH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
중인 등의 지식인 계층이 풍류방에서
향유하던 성악곡으로
오늘날 가곡·시조와 함께
정가(正歌)로 불린다.
노래의 품격을 중시하면서도
가사체(歌詞體)의 긴 사설을
노랫말로 사용함으로
자유분방하며 기교적이다.
오늘날 전승되는 12가사(十二歌詞)는
〈춘면곡〉(春眠曲)·〈백구사〉(白鷗詞)·
〈황계사〉(黃鷄寺)·〈죽지사〉(竹枝詞)·
〈양양가〉(襄陽歌)·〈어부사〉(漁父詞)·
〈길군악〉·〈상사별곡〉(想思別曲)·
〈권주가〉(勸酒歌)·
〈수양산가〉(首陽山歌)·
〈처사가〉(處士歌)·〈매화가〉(梅花歌)이다.
전승하기 힘든 ‘가사’ 종목을
더 제대로, 그리고 잘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Credit
보컬 by 이준아 Lee Jun Ah Music Producer by 이준아 Lee Jun Ah
대금 by 박장원 Park Jang Wonh
피리 by 김성준 Kim Sung Joon, 윤형욱 Yoon Hyoung Wook
해금 by 류은정 You Eun Jeong, 전은혜 Chun Eun Hye
가야금 by 유연숙 Yoo Youn Suk, 이유나 Lee You Na
거문고 by 이방실 Lee Bang Sil, 고보석 Ko Bo Suk
장구 by 박거현 Park Geo Hyun, 홍석복 Hong Seok Bok
Recording Studio by 빅스톤스튜디오 Bigstone Studio
Recording Engineer by 장우균 Jang Woo Kyun
Mixed by 장우균 Jang Woo Kyun
Mastered by 장우균 Jang Woo Kyun
Cover Design by 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