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이지영류 가야금산조
이지영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5/ 1명
  • 발매일 : 2023.02.01
  • 발매사 : 미러볼뮤직
  • 기획사 : 악당이반㈜
이지영 [이지영류 가야금산조]


[앨범 소개글]
이 음반은 2021년 4월 22일 돈화문국악당 주최 산조대전에서 연주된 이지영제 가야금산조 연주 실황으로 이지영(가야금)과 김웅식(장구)이 연주하였다. 2011년 10월 2일 전주세계소리축제에서 있었던 산조의 밤 공연에서 지금까지의 산조와는 매우 다른 새로운 스타일의 산조를 짜서 초연하였으며 이후 여러 연주를 통해 더욱 발전시켰다. 청보2장, 반첩엇모리 등의 새로운 장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계면조 · 우조 등 일반적인 가야금산조의 조 외에 호령제, 범패제, 서도제 등 한국 전통음악의 다양한 선율들을 산조에 녹아 넣어 산조의 지평을 넓혔다고 할 수 있다.
장단은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청보2장 - 반첩엇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 단모리 - 중모리로 구성되며 기존 산조의 가락이 주로 계면조의 선율로 이루어지는데 비해 새로운 분위기를 내기 위해 우조, 평조 등의 선율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동해안 무가선율이나 민요, 범패, 판소리의 독특한 더늠을 도입하여 기존 산조에서 나타나지 않는 새로운 가락들이 많이 나타난다.
진양조는 옥타브 음이 없어서 홀애비 줄이라 하는 제8현 지줄에서 시작한다. 중모리는 판소리 적벽가의 대목을 차용한 호령제 선율로 시작한다. 중중모리를 거쳐 청보2장, 반첩엇모리의 산조에서 쓰이지 않는 특별한 장단이 연결된다. 청보2장은 동해안 별신굿 장단으로 동해안 무가의 선율로 시작하는데 선율은 단순하나 불과 세장단 안에서 세 가지의 다른 청이 출현하도록 하여 청의 변화가 다채롭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어 호령제와 계면조로 연결된다. 별신굿 장단에 이어서 반첩엇모리는 이지영이 새롭게 만든 장단으로 엇모리장단을 반으로 나누고 이 사이에 3박이 첨가되는 독특한 장단이다.
산조는 그 시대 음악가들이 만든 산물이며 따라서 이 시대의 산조는 이전까지의 산조와는 다른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개개인의 산조에는 다른 사람과는 다른 본인의 개성과 독특한 아이디어가 산조선율에 녹아있어야 한다. 이 산조를 들으며 다양한 조의 변화, 각 지방색이 살아있는 산조선율의 대비, 빈번한 청의 변화, 새로운 장단의 신선함을 느끼며 전혀 다른 감각으로 이 시대의 산조를 느껴보길 바란다.

[아티스트 소개]
이지영
한국 전통예술의 본질인 악가무(樂歌舞)의 모습을 간직한 거의 마지막 세대 연주가라고 할 수 있는 이지영은 한국의 대표적인 가야금 연주가, 산조연주가로 만 5세에 가야금, 판소리, 무용 등을 배우며 전통음악에 입문하였다. 가장 전통적인 음악에서부터 가장 아방가르드한 음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가진 연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음악을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하여 악가무의 전통을 이어가는 전통예술가가 되고 싶으며 오로지 가야금 음 하나로 감동을 전달하는 연주자가 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와 동대학원에서 가야금을 전공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인 연주자 최초로 박사학위(가야금 전공)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의 교수이며 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사)김병호류 가야금산조 보존회의 부이사장, (사)가야금병창 보존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천명산조축제(남산국악당), 산조 이야기(남산국악당), 돈화문 산조대전 등에서 초청 연주하였으며 그 외 크고 작은 연주회에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다. 또한 에딘버러 페스티벌, MIDEM, Classical : Next, Curious Classic 초청으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스웨덴, 홍콩, 대만, 멕시코, 이집트 등 세계 각지에서 가야금을 연주하며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산조음반으로는 [젊은산조 2집](CJ, 1995), [서공철 가야금산조](유니버설, 2008), [The Lightness of Being ‘Music from Korea’](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2011), [이지영 가야금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50년 화천월지](악당이반, 2020) 등이 있다.
2003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13년 KBS국악대상 현악연주상, 2020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다.

[Credit]
Recording Engineer | 오지영 Oh Jiyoung
Mixing & Mastering Engineer | 김민아 Kim Mina, 김영선 Kim Youngsun
Recording Space | 서울돈화문국악당 Seoul Donhwamun Traditional Theater
Recording Date | 2021.04.22
Cover Design | 더 크리에이티브 리퍼블릭 The Creative Republic

[2021 산조대전] 공연 실황 음원입니다.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