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이지영 가야금 50년 화천월지 花天月地
이지영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0/ 0명
  • 발매일 : 2023.03.08
  • 발매사 : 미러볼뮤직
  • 기획사 : 악당이반㈜
이지영 [이지영 가야금 50년 화천월지 花天月地]


[앨범 소개글]
이 앨범은 이지영의 전통예술 입문 50주년을 기념하여 만들었다. 가야금의 역사는 2천년이 넘으며 산조음악이 가야금으로 처음 연주되기 시작하면서 한국음악과 또 가야금의 역사는 큰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가야금음악에서 산조는 가장 중요한 곡목이며 또한 모든 연주자들이 가장 사랑하는 곡이라 말할 수 있다. 원래 산조는 장구 반주로 연주하는 독주 음악이지만, 이 앨범에서는 몇몇 종류의 가야금으로 재구성하여 산조의 새로운 모습을 선보인다. 산조의 긴장과 이완, 양식미가 드러나고 연주자의 최고의 기량이 돋보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감칠맛과 아기자기한 맛이 돋보이도록, 산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곡해설]

-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삼중주 ‘녹음방초 (綠陰芳草)’
서공철류 가야금산조는 산조의 원형질인 즉흥성이 잘 드러난다. 호방하고 남성적 느낌의 힘있는 터치가 특징인 서공철류 산조를 철가야금, 산조가야금, 저음가야금으로 재구성하여 화려하면서도 열정적인 개성을 극대화하였다.

철가야금 이지영/ 산조가야금 이지언/ 저음가야금 장삼수/ 장구 김웅식

- 이지영제 가야금산조 삼중주 ‘화천월지 (花天月地)’
이지영 구성의 새로운 감성의 가야금산조이다. 계면조 중심의 기존 산조의 틀을 탈피하여 우조와 평조를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판소리의 개성 있는 더늠과 가야금 병창의 선율을 차용하여 새로운 미학의 가야금산조를 완성하였다. 철가야금, 산조가야금, 저음가야금으로 재구성하여 민속악의 아기자기한 맛을 더했다.
철가야금 이지영/ 산조가야금 이언화/ 저음가야금 김철진/ 장구 이태백

-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사중주 ‘청풍명월 (淸風明月)’
김병호류 가야금산조는 다양한 시김새가 특징이다. 미세한 미분음의 여음 표현, 4도 이상의 음폭 변화는 다이내믹한 남성적인 산조의 특징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가야금 산조의 교과서라 할 만한 군더더기 없는 알찬 가락은 김병호 가야금 산조의 핵심이다. 철가야금, 산조가야금, 고음가야금, 저음가야금으로 강건하고 청명하게 구성해보았다.

철가야금 이지영/ 산조가야금 박다솜/ 고음가야금 임도경/ 저음가야금 윤지현/ 장구 김웅식

- 이지영제 가야금산조
이지영은 2011년 10월 2일 전주세계소리축제에서 개최한 ‘산조의 밤’ 공연에서 새롭게 짠 가야금산조를 초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이후 국내·외의 공연과 녹음-2017년 뉴욕 머킨 콘서트홀, 20218년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주최 ‘뉴욕 산조페스티벌’, 2018년 명지병원 ‘뉴힐 하우스콘서트’, 2019년 국악방송 새음원 시리즈-를 통해 정제하고 발전시켰다. 장단은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반첩 엇모리-자진모리-단모리-중모리로 구성하였다. 계면조 중심의 기존 산조의 틀을 벗어나 우조와 평조를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판소리의 개성있는 더늠과 가야금 병창의 선율을 차용하여 새로운 미학의 가야금산조를 완성하였다.

가야금 이지영/ 장구 이태백

-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벗님네야’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벗님네야’는 이지영이 한국 전통예술에 입문하여 배운 첫 곡이다. 청춘을 허송세월 하지 말고 효도를 하며 살자는 내용의 가사를 가진 이 곡은 중모리 장단에 평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음원의 장구반주는 이지영의 첫 스승인 문정 이말량의 연주인데 그는 정남희의 제자이다. 이 음원의 선율은 유성기 음반 리갈(regal) C-228 B에 수록된 정남희의 가야금병창 ‘청춘을 허송마라’와 대동소이하다. 3대에 걸쳐 전해진 음악의 내력과 어린 이지영의 가야금병창이 주는 감동이 뭉클하다.

가야금병창 이지영/ 장구 이말량

[아티스트 소개]
이지영
한국 전통예술의 본질인 악가무(樂歌舞)의 모습을 간직한 거의 마지막 세대 연주가라고 할 수 있는 이지영은 한국의 대표적인 가야금 연주가, 산조연주가로 만 5세에 가야금, 판소리, 무용 등을 배우며 전통음악에 입문하였다. 가장 전통적인 음악에서부터 가장 아방가르드한 음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가진 연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음악을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하여 악가무의 전통을 이어가는 전통예술가가 되고 싶으며 오로지 가야금 음 하나로 감동을 전달하는 연주자가 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와 동대학원에서 가야금을 전공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인 연주자 최초로 박사학위(가야금 전공)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의 교수이며 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사)김병호류 가야금산조 보존회의 부이사장, (사)가야금병창 보존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천명산조축제 (남산국악당), 산조 이야기 (남산국악당), 돈화문 산조대전 등에서 초청 연주하였으며 그 외 크고 작은 연주회에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다. 또한 에딘버러 페스티벌, MIDEM, Classical : Next, Curious Classic 초청으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스웨덴, 홍콩, 대만, 멕시코, 이집트 등 세계 각지에서 가야금을 연주하며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산조음반으로는 [젊은산조 2집](CJ, 1995), [서공철 가야금산조](유니버설, 2008), [The Lightness of Being ‘Music from Korea’](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2011), [이지영 가야금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50년 화천월지](악당이반, 2020) 등이 있다.
2003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13년 KBS국악대상 현악연주상, 2020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다.

이태백│장구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이수자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9호 아쟁산조 이수자
- 광주광역시무형문화재 제14호 심청가 이수자
- 현재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한밭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김웅식│장구
- 국가무형문화제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 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수원대학교 출강

산조가야금│이지언, 이언화, 박다솜
고음가야금│임도경
저음가야금│김철진, 윤지현, 장삼수


[Credit]
Producer│Kim Young-il
Broadcaster Producer│Kim Eun-hye [Track 1~4]
Recording & Mixing│Jang Hyeong-deok [Track 1~4], Mun Han-jo [Track 5]
Mastering│ Jang Hyeong-deok [Track 1~4], Shin Su-min [Track 5] [Sonic Korea]
Tape-Copy│Song Ha-young [Track 5]
English Translation│Hilary Vanessa Finchum-Sung
Photography│Lee Jin-hwan, Mun Han-jo
Design│Min Hye-jung [Designtuesday]
CD Manufacturing│Baeksong Print
Publisher│AkdangEban, Inc.
Recording Studio│국악방송 991Studio [Track 1~4], Gyeongju [Track 5]
Recording Dates│
Tracks 1,3 : August 23, 2019
Tracks 2,4 : August 30, 2019
Tracks 5 : 1971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