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이지영 가야금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비단나비 ver.)
이지영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0/ 0명
  • 발매일 : 2023.04.26
  • 발매사 : 미러볼뮤직
  • 기획사 : 악당이반㈜
이지영 [이지영 가야금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비단나비 ver.)]


[앨범 소개글]

구전심수口傳心授로만 전해지는 가락, 삶이 담겨있는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서공철류 가야금산조는 가야금 명인 서공철이 구성한 가락이다. 서공철은 김창조와 양대산맥을 이루던 한숙구의 제자로, 9세부터 집중적으로 산조를 배우기 시작했다. 현재 많이 연주되고 있는 산조들은 김창조계인데, 서공철류 가야금 산조는 한숙구계의 음악으로 산조 음악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숙구의 맥을 잇는 서공철의 산조는 거의 제자 강정숙 명인에게 이어졌는데, 그는 기존 서공철류 가야금 산조에 없던 엇모리를 새롭게 짜 넣으며 휘모리 악장을 서공철의 가락보다 훨씬 더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다스름-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휘중중모리-엇모리-자진모리-휘모리로 구성된 서공철류 가야금산조는 매우 꿋꿋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며, 산조의 원형질이라 할 수 있는 즉흥적인 느낌이 강하며 호방하고 남성적인 느낌의 힘 있는 터치가 특징이다. 특히 가락에서 산조 고유 특징인 즉흥성이 남아있어 오늘 날에도 구전심수의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 의해 가락이 전해지고 있다. 산조는 이 세상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서공철 명인은 특히 이 말을 자주했다고 한다. ‘진양조에 눈이 내리고, 중모리엔 봄이 오고, 중중모리엔 군자(임)가 찾아오고, 자진모리엔 희로애락이 담겨 있고, 휘모리에서 젊음이 가고, 뒤풀이에서는 만사를 정돈한다.’

[아티스트 소개]

이지영
한국 전통예술의 본질인 악가무(樂歌舞)의 모습을 간직한 거의 마지막 세대 연주가라고 할 수 있는 이지영은 한국의 대표적인 가야금 연주가, 산조연주가로 만 5세에 가야금, 판소리, 무용 등을 배우며 전통음악에 입문하였다. 가장 전통적인 음악에서부터 가장 아방가르드한 음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가진 연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음악을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하여 악가무의 전통을 이어가는 전통예술가가 되고 싶으며 오로지 가야금 음 하나로 감동을 전달하는 연주자가 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와 동대학원에서 가야금을 전공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인 연주자 최초로 박사학위(가야금 전공)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의 교수이며 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사)김병호류 가야금산조 보존회의 부이사장, (사)가야금병창 보존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천명산조축제 (남산국악당), 산조 이야기 (남산국악당), 돈화문 산조대전 등에서 초청 연주하였으며 그 외 크고 작은 연주회에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다. 또한 에딘버러 페스티벌, MIDEM, Classical : Next, Curious Classic 초청으로 가야금산조를 연주하였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스웨덴, 홍콩, 대만, 멕시코, 이집트 등 세계 각지에서 가야금을 연주하며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산조음반으로는 ‘젊은산조 2집’ (CJ, 1995), ‘서공철 가야금산조’ (유니버설, 2008), ‘The Lightness of Being ‘Music from Korea’’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2011), ‘이지영 가야금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악당이반, 2018), ‘이지영 가야금 50년 화천월지’ (악당이반, 2020) 등이 있다.
2003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13년 KBS국악대상 현악연주상, 2020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다.

장구 이태백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이수자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9호 아쟁산조 이수자
- 광주광역시무형문화재 제14호 심청가 이수자
- 1994_전주대사습놀이 기악부 장원
- 2001_전주 전국고수대회 대통령상 수상
- 2017_ 이데일리 문화대상 국악상 수상
- 現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한밭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Credit]
Recording Date│December 23, 2016
Recording Studio │ Eum Sound
Recording & Mixing│ Lee Jeong-myun
Mastering│Min Ji-yeon (Studio Paju)
English Translation│Hilary Venessa Finchum-Sung
Photo│ Lee Jin-Hwan, Kim Dong-kuk
Design│ Min Hye-jung (Designtuesday)
CD Manufacturing│JungMin Printech
Publisher│AkdangEban, Inc.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