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우리는 밤에 산다
전기흐른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3.5/ 101명
  • 발매일 : 2015.02.12
  • 발매사 : Mirrorball Music(미러볼뮤직)
  • 기획사 : ORM ENT.
아름답게 부유하는 레트로 사운드, 밤을 사는 이들을 위한 찬가!
신스 팝 듀오 “전기흐른” 정규 1집 [우리는 밤에 산다]'
 
일렉트로닉 음악이라고 하면 대부분은 연주곡을 떠올린다. 전자 악기로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 대부분이 팝 멜로디나 보컬보다는 비트, 리듬, 사운드에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일렉트로닉은 다른 장르들에 비해 '실험' 혹은 '댄스'로 양분되는 분위기를 갖고 있어 이 경향이 훨씬 짙다.
 
하지만 전기흐른은 팝을 지향하는 밴드다. 이들은 객원 보컬을 쓰거나 샘플링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 보컬 멤버를 두고 직접 노래를 부른다. 심지어 전기흐른은 포크 싱어송라이터 출신 흐른이 노래하고 가사를 쓴다. 그녀는 여느 일렉트로닉 그룹들처럼 소울풀함이나 그루브에 초점을 두지 않고 덤덤하고 몽롱한 톤으로 삶과 세상을 노래한다. 이들에겐 리듬과 사운드만큼이나 노래가 중요하며 노래가 갖는 보편적인 호소력과 메시지의 힘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은 말 그대로 신스 '팝' 밴드다.
 
흐른과 류호건은 흐른의 2집 활동 도중 만났다. 흐른은 역시 전자음악이었던 2011년 [Leisure Love]를 라이브로 공연하곤 했고 류호건은 거기서 기타를 쳤다. 흐른은 류호건과 둘만의 라이브 세션으로 공연을 선보이곤 했는데, 이것이 좀 더 정식화된 것이 전기흐른의 결성이었다. 그룹은 2013년에 EP [길티 플레저]를 발표했고, 같은 해에 위안부 피해 여성들을 위한 컴필레이션 앨범 [이야기해주세요 - 두 번째 노래들]에 [살아있었네]를 수록했다. 이번 신작 [우리는 밤에 산다]는 2년 만에 선보이는 새 앨범이다.
 
이번 앨범의 주제는 '밤'이다. 밤은 밴드에 의하면 우리가 존재론적 불안을 마주하는 시간이다. 우리는 밤이 되면 낮에는 잊고 있던 지나간 사랑에 대해 떠올린다. 가끔은 나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엄습한다. 밤은 그렇게 누구에게나 고독과 불안을 안겨주는 시간이다. 밴드는 밤의 그런 특성을 가사와 무드 속에 진하게 녹여냈다. 공허함과 쓸쓸함을 토로하기도 하고('Empty Night'), 서로가 모래알처럼 흩어지는 사이란 걸 깨닫기도 하며('깜빡이는 사람들'), 우리 모두는 사실 상처를 숨기며 살기 급급한 괴짜들이라는 사실을 고백하기도 한다('Super Moon'). 펑키한 댄스 리듬이 도드라지지는 앨범이지만 그 아래에는 진한 자기 연민이 흐르고 있다.
 
전기흐른은 빈티지와 아날로그 신스의 매력에 빠진 그룹이다. 따라서 이들은 전자음악의 초창기 전성기인 1980년대로 돌아가고자 한다. 당시엔 뉴 웨이브가 전 세계의 핫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었고 70년대의 디스코가 전자음의 외피를 입기 시작했다. 그룹은 그 뿌리로 돌아가 전자음악의 원형을 재현하고자 한다. 사운드 메이킹도 기본에 충실하다. 트랙을 많이 쌓아 올리기보다는 심플하게 가되 각각의 밀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작업했다. CPU가 정지될 정도로 수많은 트랙을 쌓아 놨다고 해서 꼭 좋은 음악은 아니다. 오히려 단순하더라도 각각의 소리들이 분명히 부각되는 음악이 더 수준 높은 편곡이다. 전기흐른은 그 기본적인, 그러나 더 어려운 베테랑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다.
 
전작에서 흐른이 멜로디와 코드 진행을, 류호건이 효과나 비트 쪽을 담당했다면 이번 앨범에선 둘의 분업이 그리 엄격히 구분되지 않는다. 류호건이 곡의 틀이나 메인 멜로디를 만든 트랙도 있고 흐른이 직접 비트를 만들기도 했다. 예전의 전기흐른이 서로를 '돕는' 느낌이었다면 이번엔 완전히 '하나'가 된 느낌이다. 80년대에 대한 오마주도 전작보다 더 뚜렷해 졌다. [길티플레저]가 그들의 취향을 다소 머뭇거리며 드러냈다면 이번 앨범은 더 노골적이고 거침없이 레트로를 추구했다.
 
프로듀싱은 보이즈 인 더 키친의 [Boys In The Kitchen], 단편선과 선원들의 [동물]에 참여했던 천학주가 맡았다. 그는 전체 프로듀싱은 물론 레코딩과 믹싱의 상당 부분을 맡아 앨범의 전체적인 사운드 톤을 잡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 산다]는 좀 더 균형잡힌 앨범이 될 수 있었다.
 
1. Empty Night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우리 모두는 살아가기 위해 어느 정도의 사랑을 필요로 한다는 노래다. '쿵칫쿵칫'거리는 디스코 리듬과 빈티지 아날로그 신스의 조화가 초기의 하우스 음악을 떠올리게 한다.
 
2. 깜빡이는 사람들 (작곡: 흐른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80, 90년대 가요의 정서를 레트로 전자음악에 결합한 곡이다. 누군가를 만난 후 오히려 더 큰 고독을 느끼는 관계의 어려움, 인터넷에 사연과 한숨을 늘어놓는 요즘의 관계 맺기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드럼은 전자음이 아닌 정한길의 실제 연주다.
 
3. If It's Not Love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류호건)
 
중반부에 등장하는 류호건의 기타 솔로에서부터 후반부의 신스 솔로까지, 전체적으로 연주의 비중이 높은 곡이다. 실제 연주와 기계적 반복의 조화가 뛰어난 곡이다.
 
4. 우리는 밤에 산다 (작곡: 흐른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앨범에서 가장 신나고 댄서블한 곡이다. 의도적으로 80, 90년대 롤라장의 향수를 재현했다고 한다. 16비트로 잘게 쪼개져 날아다니는 신스가 중독적이면서도 드라이빙감이 넘친다. 앨범 제목으로도 쓰인 '우리는 밤에 산다'는 니콜라스 레이 감독의 1949년 영화 [그들은 밤에 산다]에서 가져온 말이라고 한다. 
 
5. 우린 모두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류호건)
 
느릿한 알앤비 그루브부터가 '우리는 밤에 산다'의 빠른 디스코 그루브와 대조를 이룬다. 공간을 힘 있게 울리며 뿜어져 나오는 신스 솔로는 낭만적인 기운도 머금고 있다. 가사는 그러나 이런 끈적하고 로맨틱한 분위기와는 대조적이다. 강압적으로 세워진 송전탑, 세월호에서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We are the world'라는 가사는 우리가 있는 이 세상이 어떤 곳인지 생각해보자는 의미에서 반어적으로 썼다고 한다.
 
6. 떠나가네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쓸쓸한 발자국 소리를 활용한 비트 위로 휑한 바람 같은 신스 소리가 휘익 훑고 지나간다. 황량한 사운드를 배경으로 가사 역시 고독함과 비장함으로 가득하다. 음악과 사운드 모두에서 절절한 외로움이 배어 나오는 곡이다. 
 
7. Super Moon (작곡: 흐른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복고는 때로 밝고 귀여운 느낌을 준다. 왱왱대고 때론 꽁꽁거리는 이 노래의 신스 소리들이 그렇다. 여기에 정한길의 드럼과 류호건의 기타 연주까지 더해져 옛날 디스코의 밴드적인 느낌까지 살아났다. 밝은 곡이어서 그런지 다른 곡들과 달리 따뜻한 위로의 말도 건넨다. "걱정하지 말아요. 우린 모두가 괴짜들이에요. 우리가 괴짜라는 사실을 축하해요."
 
8. Swing Me (작곡: 흐른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전기흐른의 음악에선 전체적으로 프로그레시브의 느낌이 난다. 아름답게 부유하는 나른한 음색들이 자주 쓰인다. 이 곡은 특히 그렇다. 공중에 붕 뜬 듯한 백일몽 같은 분위기를 정말 잘 만들었다. 드럼 연주는 역시 정한길의 것이다.
 
9. Berlin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베를린 테겔 공항에 내려 눈내린 겨울의 독일을 바라보는 곡이다. 베를린에 대한 노래이기 때문일까. 전기 스파크 같은 비트가 돋보이는 가장 테크노적인 곡이다.
 
10. 바다가 없는 섬 (작곡: 흐른, 류호건 / 작사: 흐른 / 편곡: 흐른, 류호건)
 
앨범 속에서 가장 미니멀한 곡이다. 마치 앰비언트를 듣는 듯, 뿌옇고 몽롱한 신스가 천천히 형태를 바꿔가며 초저속의 느릿한 리듬감을 만든다. 가사는 작년에 벌어졌던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에 대한 이야기다. 젖과 꿀이 흐를 것으로 예언된 땅에서 불행하게 고립된 채 살아가는 절망적인 사람들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11. 1월 14일 (작곡: 류호건 / 편곡: 흐른, 류호건)
 
유일한 인스트루멘탈 곡이다. 디지털 악기들에서 찾기 힘든 중저역대의 파워를 있는 힘껏 밀어붙이고 있다. 돌돌 말리듯 변형되는 이 베이스 소리야말로 아날로그 신스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 아닐까.
2015.2.8. 이대화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