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국민클래식 (Well Known Classic) Vol.1
Studio Symphony Orchestra Of Prague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5/ 1명
  • 발매일 : 2015.08.21
  • 발매사 : NHN벅스
  • 기획사 : (주)마코앤메이저엔터테인먼트

'Studio Symphony Orchestra Of Prague' [Easy Classic_알기쉬운 클래식] 씨리즈
[국민클래식 (Well Known Classic) Vol. 1]


이 음반은 1995년 체코에서 제작되었으며,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인 'Studio Symphony Orchestra of Prague'의 수준 높은 연주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01 로시니 (Gioachino Antonio Rossini) "Wilhelm Tell, Overture-Finale" ('윌리암텔 서곡' 중 피날레)
윌리암 텔 (Wilhelm Tell)은 이탈리아의 작곡가 '조아키노 로시니 (Gioachino Antonio Rossini : 1792~1868)'가 작곡한 오페라이며, 이 곡은 크게 새벽, 폭풍, 정적, 스위스 군대의 행진 (피날레)의 4막으로 구성된 '윌리암 텔'의 서곡 (Overture) 중 가장 유명한 '피날레 (스위스군대행진)'입니다. 윌리암 텔은 1829년 파리에서 초연되었다고 합니다. 그가 작곡한 약 37편의 오페라들 중 마지막 작품이며, 또한 가장 유명한 오페라이기도 합니다. 제 2의 고향이 된 파리에 완전한 프랑스 오페라를 선사하고자 창작을 하였다고 하며, 풍부한 볼거리, 대규모 합창단과 앙상블, 발레 등 장대한 규모의 오페라 작품입니다. 그러나 5시간에 가까운 긴 연주시간으로 인해 요즘은 잘 연주되어지지 않고 있으나 작품의 처음부분에 등장하는 서곡만은 현재까지도 자주 연주되며, 특히 서곡 중 4번째 곡인 '피날레'가 가장 자주 독립적으로 연주되어집니다.

02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Air on the G String (G선상의 아리아)" (Air from Suite No.3)
"G선상의 아리아"라고 널리 불리우는 이 곡은, '바흐(Johann Sebastian Bach : 1685~1750, 독일)'의 "관현악 모음곡 3번" 중 "Air (에어)"라고 불리는 제 2악장이 정식 곡 제목입니다, 'Air'는 '아름다운 선율을 지닌 곡'이라는 똣으로 서곡, 아리아, 가보트, 부레, 지그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G선은 바이올린의 현(絃)들 4개의 현들 중에서 가장 굵은 소리와 낮은 음역을 지닌 현으로 편안하고 따듯한 소리 성질을 가집니다. 따라서 ‘G선상의 아리아’는 음역이 가장 낮은 G현으로 연주하는 아리아(노래)라는 뜻입니다. 19세기의 명 바이올리니스트인 '빌 헬미 (August Wilhelmi (1845~1908))'라는 바이올리니스트가 19세기 말 바이올린의 G현 하나만 사용해서 연주하도록 편곡하였으며, 이 때부터 "G 선상의 아리아"라는 곡 제목으로 불리워지게 되었습니다. 바흐는 생전에 작곡가로써 큰 명성을 얻지 못했으며, 그의 사망 후, 모든 그의 작품들이 잊혀질 뻔 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바흐 부활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그의 작품들이 다시 주목받게 됩니다. 또한 바이올리니스트인 '빌 헬미'가 멘델스존 (Jok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 1809~1847, 독일)의 소개를 통해 이 곡을 알게 되어 편곡 및 연주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03 멘델스존 (Jok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Allegro Vivace from 4th Symphony" (교향곡 제 4번 '이탈리아' 중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
"이탈리아"는 멘델스존 (Jok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 1809~1847, 독일)이 이탈리아에서 1833년에 완성한 교향곡입니다. 이 곡은 '이탈리아' 중 1악장 Allegro Vivace (알레그로 비바체)이며, 남부유럽의 아름다운 풍경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멘델스존은 부유한 집안에서 여행을 하며 자란 작곡가이며, 그의 모든 음악들은 여행에서 영감을 얻어서 작곡하였다고 합니다. "이탈리아"는 그의 작품, 5개의 교향곡 중 가장 유명한 걸작이며, 1833년 5월에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초연 후, 이 곡을 계속해서 수정하여 같은 해에 재연하였습니다. 하지만 멘델스존 생존 중에는 악보로 출판되지 않았으며, 고국인 독일에서는 연주되어진 적이 없으며, 1851년에 악보로 출판됩니다. 사실상 그의 세 번째 작품이지만 늦은 악보 출판으로 인하여 제 4번 교향곡이 되었습니다.

04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Peer Gynt, Suite No.1" ('페르귄트 모음곡 1번' 중 아침)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 1843~1907)가 1876년 작곡한 페르귄트 (Peer Gynt)의 가장 알려진 음악 중 하나인 "아침 (Morning)"입니다. 주로 서정적인 음악을 작곡하던 그리그는, 스스로 극음악에는 본인의 음악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노르웨이의 위대한 작가 '입센(Henrik Ibsen)'의 극시 '페르귄트(Peer Gynt)'를 위한 극음악의 작곡을 적극 의뢰받아, 5곡의 전주곡을 비롯하여 행진곡, 무곡, 독창곡, 합창곡 등 모두 23곡을 작곡하였습니다. 이후에 그리그는 이 극 음악중에서 가장 우수한 4개의 작품을 뽑아 '제 1 모음곡 (Suite No.1)'으로, 그 후에 다시 4곡을 선정하여 '제 2 모음곡 (Suite No.2)'으로 하였습니다. "아침 (Morning)"은 '제 1 모음곡' 중 1곡이며, 잔잔하고 서정적인 분위기의 곡입니다.

05 폰키엘리 (Amilcare Ponchielli) "La Gioconda, Dance of the Hours (Danza dell'ore)" ('라조콘다' 중 시간의 춤)
아밀카레 폰키엘리(Ponchielli, Amilcare : 1834 ~ 1886)가 작곡한 "라조콘다(La Gioconda)"의 제 3막 2장에 나오는 가면무도회에서 연주되는 발레음악입니다. 극적이며 어두운 면으로 일관된 "라조콘다(La Gioconda)" 중에서는 대조적으로 화려한 음악입니다. 이 곡에 붙여진 이름은, "시간의 춤(Danza dell'ore)"이라는, 하루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곡으로 표현한 이름입니다.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이 곡은 가면을 쓴 사람들이 추는 하루의 시간을 묘사한 것으로써 먼 동쪽 하늘이 밝아오는 경쾌하고 신선한 아침으로 시작하여, 우아한 낮으로 넘어가고 아스라한 저녁으로 이어집니다. 화려하게 연주되는 마지막부분은 시간의 조각들이 정신없이 지나가듯이 빠르게 연주되다가 끝이 나는 구성입니다.

아밀카레 폰키엘리(Ponchielli, Amilcare : 1834 ~ 1886)는 이탈리아 크레모나의 파데르노 파솔라로(Paderno Fasolaro)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이 마을은 오늘날 폰키엘리를 기념해 파데르노 폰키엘리(Paderno Ponchielli)로 이름을 바꾸기도 하였습니다. 아홉 살에 밀라노 음악원에 들어간 그는 열 살 때 첫 교향곡을 작곡했다고 하며, 1881년에 벨가모 성당의 악장이 됨과 동시에 밀라노 음악원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참고로, 그에게 배운 제자로는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 에밀리오 피치(Emilio Pizzi), 피에트로 마스카니(Pietro Mascagni)등이 있습니다. 오페라 작곡가로서는 오페라 '약혼자(The Betrothed)'로 1856년 밀라노에서 초연되었습니다. 그는 오페라에서 기악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한편 음성표현에도 기악을 적극 이용하였습니다. 11곡의 오페라를 작곡하였으며, 그밖에도 G.도니제티에게 바친 '칸타타'(Cantana)'와 5월 29일이라는 제목으로 작곡한 A.만조니를 위한 장송행진곡 '가리발디에 대한 송가(頌歌)' 등의 작품들이 있습니다. "라조콘다(La Gioconda)" 는 오늘날에도 많이 공연되고 있으며, 이 작품에 나오는 발레 음악 "시간의 춤(Danza dell'ore)"은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판타지아(Fantasia)'에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06 보케리니 (Luigi Boccherini) "Minuet from String Quartet No.5 in F major" (미뉴에트 현악 4중주)
보케리니(Luigi Rodolfo Boccherini : 1743~1805)의 "미뉴에트(Minuet)"입니다. 미뉴에트란 프랑스의 춤곡으로 우아한 3박자 리듬의 곡입니다. 처음에는 프랑스 농촌의 평민들이 주로 즐겨들었던 춤곡이었다고 하지만, 보케리니의 미뉴에트는 이를 뛰어넘어 궁중의 화려한 무도회의 음악으로까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서민들이 애용하던 곡에서 17세기 프랑스 귀족들에게 인기를 받아 귀족들에게도 알려진 뒤에 18세기엔 고전 교향곡에서 3악장 등에 등장하게 된 곡으로 순수 기악곡의 형식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아하면서도 밝은 느낌이 강하고 특히 곡의 난이도도 낮아서 초보자들이 연주하기에도 좋은 곡입니다. 다른 다수의 작곡가들이 작곡한 '미뉴에트'에 비해 현재까지 이 보케리니 미뉴에트가 가장 널리 알려지고 좋은 음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바이올린용으로도 편곡이 되어서 각종 연주회의 프로그램에서 빠지지않고 나오는 대표적인 곡으로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보케리니'는 1743년 2월 19일에 이탈리아의 '루카(Luca)'에서 태어났습니다. 부친은 베이스 연주자로서 아들에게 기초를 가르쳤으며, 또 14세 때까지 부친과 '아바테 비누치'에게 첼로를 배웠고, 후에 로마로 가서 첼로와 작곡을 전공, 6년이 지나 '루카'로 돌아가서 최초의 작품을 썼습니다. 이로 인해 보케리니의 음악적인 천재성이 세상에 알려져 바이올리니스트인 '필리포 만프레디 (Filippo Manfredi)'와 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연주 여행을 했습니다. 또한 1768년에 파리로 가서 그의 작품 16개의 현악 4중주곡을 출판하였으며, 이어서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3중주곡집을 발표했는데, 이 매력적인 실내악곡들은 당시 파리 악단들의 애호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보케리니의 이름을 더욱 알려지게 됩니다. 이후, 1769년, 보케리니는 스페인 대사의 초청에 의해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로 갔는데, '루이스 왕자'와 왕으로부터 실내악의 명수로서 후한 대접을 받았다고 합니다. 1787년, 그는 프러시아의 '프레데릭 빌헬름 2세 (Wilhelm II, 1859~1941)'에게 작품을 헌정한 것이 인연이 되어 궁정을 섬겼으나, 1797년 왕의 서거와 함께 실직하고 1805년 5월 28일 마드리드에서 서거하였습니다. 작품은 현악 4중주곡 91, 현악 5중주곡 125, 피아노 5중주곡 12, 현악과 플루트를 위한 5중주곡 18, 교향곡 20, 첼로협주곡 4곡 등 다수가 있습니다.

07 헨델 (Georg Friedrich Haendel) "Watermusic, Allegro ala Horn pipe" ('수상음악' 중 알라 혼파이프)
"수상 음악"(水上 音樂, Water Music)은 '헨델(Georg Friedrich Haendel : 1685~1759)'이 작곡하여 여러 관현악 악장을 모은 곡입니다. 수상음악 중 상쾌하고 은은한 춤곡풍의 '알라혼파이프(Alla Hornpipe)'는 수상음악을 대표하는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알라혼파이프는 스코드랜드의 전통악기이며, 헨델이 영국에 머물면서 알라혼파이프를 이용하여 작곡하였다고 합니다. 

'조지 1세(George I, 1660~1727)' 임금이 템스 강에서 연주회를 요청하여 1717년 6월 17일 초연되었습니다. 이 연주회는 왕의 유람선 선상에서 임금과 측근들이 듣는 가운데 50명의 악사들이 공연하였습니다. 여기에 참석한 왕의 측근 가운데는 볼튼 공작부인, 뉴캐슬 공작부인, 고돌핀 백작부인, 킬마르노크 부인, 오크니 백작 등이 있었다고 하며, 조지 1세는 이 곡을 무척 좋아하여 지친 악사들로 하여금 이 곡을 세 번이나 더 연주하도록 명령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영국에서는 매년마다 템즈강의 행사에 이 곡을 꼭 연주한다고 합니다. 수상음악은 3개의 모음곡 속에 20여곡의 관련악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악기 외에도 목관악기와 금관악기가 함께 편성되어있어 밝고 산뜻한 이탈리아 풍의 음악으로 야외연주에서 아주 효과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음악입니다.

글 : (주)마코앤메이저엔터테인먼트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