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 정보
번지없는 주막 - 이민숙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주막에
궂은비 나리는 이 밤도 애절 구려
능수버들 채질 하는 창살에 기대어
어느 날짜 오시겠소 울던 사람아
~ 간 주 중 ~
아주까리 초롱 밑에 마주앉아서
따르는 이별주에 밤비도 애절 구려
귀밑머리 쓰다듬어 맹세는 길어도
못 믿겠소 못 믿겠소 울던 사람아
비내리는 호남선 - 이민숙
목이매인 이별가를 불러야 옳으냐
돌아서서 피눈물을 흘려야 옳으냐
사랑이란 이런가요 비 내리는 호남선에
헤어지던 그 인사가 야속도 하더란다
~간 주 중~
다시 못 올 그 날짜를 믿어야 옳으냐
속을 줄을 알면서도 속아야 옳으냐
죄도 많은 청춘이냐 비 내리는 호남선에
떠나가는 열차마다 원수와 같더란다
찔레꽃 - 이민숙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언덕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흘리며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 간 주 중 ~
달뜨는 저녁이면 노래하던 새 동무
철리객창 북두성이 서럽습니다
작년 봄에 모여앉아 찍은 사진을
하염없이 바라보니 즐거운 시절아
울고 넘는 박달재 - 이민숙
천둥 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님아
물 항라 저고리가 궂은비에 젖는 구려
왕거미 집을 짓는 고개마다 구비마다
울었오 소리쳤소 이 가슴이 터지도록
~간 주 중~
부엉이 우는 산골 나를 두고 가는님아
돌아올 기약이나 성황님께 빌고가소
도토리묵을 짜서 허리춤에 달아주며
한사코 우는구나 박달재의 금봉이냐
흑산도 아가씨 - 이민숙
남 몰래 서러운 세월은 가고
물결은 천번 만번 밀려오는데
못 견디게 그리운 아득한 저 육지를
바라보다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간 주 중~
한 없이 외로운 달빛을 안고
흘러온 나그넨가 귀향 살인가
애타도록 보고픈 머나먼 그 서울을
그리다가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한 많은 대동강 - 이민숙
한 많은 대동강아 변함없이 잘 있느냐
모란봉아 을밀대야 네모양이 그립구나
철조망이 가로막혀 다시 만날 그때까지
아~ 소식을 물어본다 한 많은 대동강아
~ 간 주 중 ~
대동강 부벽루야 뱃노래가 그립구나
귀에 익은 수심가를 다시 한 번 불러본다
편지 한 장 전할길이 이다지도 없을소냐
아~ 썼다가 찢어버린 한 많은 대동강아
삼다도 소식 - 이민숙
삼다도라 제주에는 아가씨도 많은데
바닷물에 씻은 살결 옥같이 귀엽구나
미역을 따오리까 소라를 딸까
비바리 하소연에 물결 속에 젖어가네
음~ 음~ ~ 물결에 꺼져가네
~간 주 중~
삼다도라 제주에는 돌맹이도 많은데
발부리에 걷어채는 사랑은 없다던가
달빛이 지새드는 연자방앗간
밤 세워 들려오는 콧노래가 구성지다
음~ 음~ ~ 콧노래 구성지다
용두산 엘레지 - 이민숙
용두산아 용두산아 너만은 변치말자
한발 올려 맹세하고 두발 딛어 언약하던
한 계단 두 계단 일백구십사 계단에
사랑심어 다져놓은 그 사람은 어디가고
나만 홀로 쓸쓸히도 그 시절 못 잊어
아~아~못 잊어 운다
~간 주 중~
용두산아 용두산아 그리운 용두산아
세월 따라 변하는게 사람들에 마음이냐
둘이서 거닐던 일백구십사 계단에
즐거웠던 그 시절은 그 어디로 가버렸나
잘있거라 나는간다 꽃피던 용두산
아~아~용두산 엘레지
나그네 설움 - 이민숙
오늘도 걷는다 만은 정처 없는 이발길
지나온 자욱마다 눈물 고였네
선창가 고동소리 옛 님이 그리워도
나그네 흐를 길은 한이 없어라
~ 간 주 중 ~
타관 땅 밟아서 돈지 십년 넘어 반평생
사나이 가슴속에 한이 서린다
황혼이 찾아들면 고향도 그리워져
눈물로 꿈을 불러 찾아도 보네
대지의 항구 - 이민숙
버들잎 외로운 이정표 밑에
말을 매는 나그네야 해가 졌느냐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달빛에 길을 물어
꿈에 어리는 꿈에 어리는
항구 찾아 가거라
~간 주 중~
흐르는 주마등 동서라 남북
피리 부는 나그네야 봄이 왔느냐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꼭 잡고 길을 물어
물에 어리는 물에 어리는
항구 찾아 가거라
구름도 낯설 은 영을 넘어서
정처 없는 단봇짐에 꽃비가 온다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바람을 앞세우고
유자 꽃피는 유자 꽃피는
항구 찾아 가거라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주막에
궂은비 나리는 이 밤도 애절 구려
능수버들 채질 하는 창살에 기대어
어느 날짜 오시겠소 울던 사람아
~ 간 주 중 ~
아주까리 초롱 밑에 마주앉아서
따르는 이별주에 밤비도 애절 구려
귀밑머리 쓰다듬어 맹세는 길어도
못 믿겠소 못 믿겠소 울던 사람아
비내리는 호남선 - 이민숙
목이매인 이별가를 불러야 옳으냐
돌아서서 피눈물을 흘려야 옳으냐
사랑이란 이런가요 비 내리는 호남선에
헤어지던 그 인사가 야속도 하더란다
~간 주 중~
다시 못 올 그 날짜를 믿어야 옳으냐
속을 줄을 알면서도 속아야 옳으냐
죄도 많은 청춘이냐 비 내리는 호남선에
떠나가는 열차마다 원수와 같더란다
찔레꽃 - 이민숙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언덕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흘리며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 간 주 중 ~
달뜨는 저녁이면 노래하던 새 동무
철리객창 북두성이 서럽습니다
작년 봄에 모여앉아 찍은 사진을
하염없이 바라보니 즐거운 시절아
울고 넘는 박달재 - 이민숙
천둥 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님아
물 항라 저고리가 궂은비에 젖는 구려
왕거미 집을 짓는 고개마다 구비마다
울었오 소리쳤소 이 가슴이 터지도록
~간 주 중~
부엉이 우는 산골 나를 두고 가는님아
돌아올 기약이나 성황님께 빌고가소
도토리묵을 짜서 허리춤에 달아주며
한사코 우는구나 박달재의 금봉이냐
흑산도 아가씨 - 이민숙
남 몰래 서러운 세월은 가고
물결은 천번 만번 밀려오는데
못 견디게 그리운 아득한 저 육지를
바라보다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간 주 중~
한 없이 외로운 달빛을 안고
흘러온 나그넨가 귀향 살인가
애타도록 보고픈 머나먼 그 서울을
그리다가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한 많은 대동강 - 이민숙
한 많은 대동강아 변함없이 잘 있느냐
모란봉아 을밀대야 네모양이 그립구나
철조망이 가로막혀 다시 만날 그때까지
아~ 소식을 물어본다 한 많은 대동강아
~ 간 주 중 ~
대동강 부벽루야 뱃노래가 그립구나
귀에 익은 수심가를 다시 한 번 불러본다
편지 한 장 전할길이 이다지도 없을소냐
아~ 썼다가 찢어버린 한 많은 대동강아
삼다도 소식 - 이민숙
삼다도라 제주에는 아가씨도 많은데
바닷물에 씻은 살결 옥같이 귀엽구나
미역을 따오리까 소라를 딸까
비바리 하소연에 물결 속에 젖어가네
음~ 음~ ~ 물결에 꺼져가네
~간 주 중~
삼다도라 제주에는 돌맹이도 많은데
발부리에 걷어채는 사랑은 없다던가
달빛이 지새드는 연자방앗간
밤 세워 들려오는 콧노래가 구성지다
음~ 음~ ~ 콧노래 구성지다
용두산 엘레지 - 이민숙
용두산아 용두산아 너만은 변치말자
한발 올려 맹세하고 두발 딛어 언약하던
한 계단 두 계단 일백구십사 계단에
사랑심어 다져놓은 그 사람은 어디가고
나만 홀로 쓸쓸히도 그 시절 못 잊어
아~아~못 잊어 운다
~간 주 중~
용두산아 용두산아 그리운 용두산아
세월 따라 변하는게 사람들에 마음이냐
둘이서 거닐던 일백구십사 계단에
즐거웠던 그 시절은 그 어디로 가버렸나
잘있거라 나는간다 꽃피던 용두산
아~아~용두산 엘레지
나그네 설움 - 이민숙
오늘도 걷는다 만은 정처 없는 이발길
지나온 자욱마다 눈물 고였네
선창가 고동소리 옛 님이 그리워도
나그네 흐를 길은 한이 없어라
~ 간 주 중 ~
타관 땅 밟아서 돈지 십년 넘어 반평생
사나이 가슴속에 한이 서린다
황혼이 찾아들면 고향도 그리워져
눈물로 꿈을 불러 찾아도 보네
대지의 항구 - 이민숙
버들잎 외로운 이정표 밑에
말을 매는 나그네야 해가 졌느냐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달빛에 길을 물어
꿈에 어리는 꿈에 어리는
항구 찾아 가거라
~간 주 중~
흐르는 주마등 동서라 남북
피리 부는 나그네야 봄이 왔느냐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꼭 잡고 길을 물어
물에 어리는 물에 어리는
항구 찾아 가거라
구름도 낯설 은 영을 넘어서
정처 없는 단봇짐에 꽃비가 온다
쉬지 말고 쉬지를 말고
바람을 앞세우고
유자 꽃피는 유자 꽃피는
항구 찾아 가거라
멜론 님께서 등록해 주신 가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