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 정보

김일륜 가야금 병창 - 길닦음(진도씻김굿 中)(2022Ver.)
김일륜
김일륜 가야금 병창 - 흥과 시름 絃歌別曲
앱에서 듣기
아신아- 에헤- 공심은 절을 짓고 / 나무남산 봉이로구나 /
국원 조선국을 마련허야 / 염제신농씨 황제헌원씨 /
에- 요도당씨 제후발왕씨 / 인의 갓길을 마련허야 /
자월- 자월 자일 자시에 하날이 삼기시고 / 축월 축일 축시에는 땅이 삼기시고 /
인날에 인시에는 이수인간을 마련헐제 / 오늘날- 불쌍허구나 금일망자 /
좋은 곳으로 가시라고 마당생기 들생기 / 염- 천도무 시무생기 야락을 모셨으니 /
이 굿 받아 잡수시고 씻김 받어서 극락갈제 / 어둡던 길은 밝가가고 / 밝던 길은 넓아가고 / 너룹던 길 평길되고 / 바람도 쉬어 넘고 구름도 쉬어 넘는 / 수레 수레 꽃밭수레 /
상수레 밭으로 인도되야 / 왕생극락 하소서 아- /
경상도는 대풀이요 / 전라도는 중천에 풀이란다 /
잔도잔도 새로 속잎이 났네 /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 많이 흠양허고 평안이 돌아가소

제-보살– / 제- 보살이로구나
나무여 어허– / 탄야 허로구나 / 나무나무여 아미타불 /
등잔가세 등잔을 가세 / 하나님전에 등잔을 가세 /
늙은 사람은 죽지를 말고 / 젊은 사람은 늙지 마자고 / 등잔가세 /
나무나무여 아미타불 /
넋이로구나 신이로구나 / 가련허다 금일 망자 / 처량허구나 넋이로세 /
한번이차 죽어지니 / 인간세상 하직허네 / 다시 못 올 길 가시는구나 /
나무나무여 아미타불 /

나무야 나무야 나무나무나무야 / 나무뿌리나 길이나 닦세 /
산에다 나무를 심어 / 유절유절 길러내어 / 고물고물이 단청일세 /
나무야 나무야 나무나무나무야 / 나무뿌리나 길이나 닦세 /
동에로 뻗은 가지 / 옥토보살 열리시고 / 남에로 뻗은 가지 / 화보살 열렸네 /
나무야 나무야 나무나무나무야 / 나무뿌리나 길이나 닦세 /
서에로 뻗은 가지 / 금호보살이 열리시고 / 북에로 뻗은 가지는 / 수호보살 열렸네 /
나무야 나무야 나무나무나무야 / 나무뿌리나 길이나 닦세 /

하적이야 하적이로구나 /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
인제가면 언제와요 / 오실 날짜나 일러주오 / 마지막 가시자고 / 하직을 허네 /
하적이야 하적이로구나 /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
자손들아 잘 있거라 / 나는 돌아간다 / 마지막 가시자고 / 하직을 허네 /
하적이야 하적이로구나 /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
처자식도 하직이요 / 형제일신도 하직허고 / 마지막 떠나신다고 하직을 헙시다 /
하적이야 하적이로구나 /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가자서라 가자서라 / 나무아미타불
금일망자씨 극락가자 / 나무아미타불 / 머나 먼 길을 어서가세 / 나무아미타불 /
꽃은 꺾어 머리에 꽂고 / 잎은 띠어다 입에 물고 / 나무아미타불 /
청사초롱에다 불 밝혀서 / 왕생극락 가자서라 / 나무아미타불 /
제보살 제보살 나무아미타불 / 제보살 제보살 나무아미타불 /

아- 헤요 아- 헤요 천궁이요 천궁이요 /
악취무명원 쉬어가세 / 성취숙명원 쉬어가세 / 아- 헤요 아- 헤요 천궁이요 천궁이요 /
깊은 물에 다리 놓아 만인공덕에 다리 천궁 / 아- 헤요 아- 헤요 천궁이요 천궁이요 /
불쌍허신 망자님 꽃 꺾어 머리에 꽂고 / 잎은 띠어 입에 물고 환생초 손에다 들고 / 좌상부처 품에 안고 염불로는 양식삼어 청사초롱에 불 밝히고 왕생극락을 간다드라 -

배띄어라 극락가자 / 배놓아라 극락가자 / 배띄어라 극락가자 /
깊은 물에다 다리놓아 / 만인공덕에 길을 놓아 / 극락가자 배띄어라 / 반야용선 배띄어라 /
초제왕은 배을 띄우고 / 이제왕은 노를 젓네 / 삼제왕은 치를 잡어 / 양양강수 맑은 물에 / 덩실덩실 배을 띄워 / 순풍으로 극락갈제 / 팔보살이 호위허고 / 제천음악 가진풍류/ 천동천녀 춤을 추네 / 원왕생 원왕생 금일망자씨 원왕생 / 나무정토 극락세계 / 인도 환생을 하옵소서 / 쟁쟁바리는 쟁쟁울고 / 나무잽이는 종달새 떴단다 / 잔도잔도 새로 속잎이 났네 /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 많이 흠양허고 평안이 돌아가소 / 어– 잘가시오–
멜론 님께서 등록해 주신 가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