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강은일 6집: 밑도드리, 웃도드리, 현악영산회상
강은일
앱에서 듣기
  • 앨범 평점 0/ 0명
  • 발매일 : 2023.03.28
  • 발매사 : 사운드프레스
  • 기획사 : 해금플러스
● 밑도드리_미환입(尾還入)_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
도드리란 '되돌아 든다(還入)'는 뜻으로,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들어온 궁중음악인 보허자(步虛子) 중에서 반복되는 선율을 일부 변화시켜 만들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원래는 그냥 도드리라고 불렸는데, 이 곡에서 웃도드리가 파생된 이후로 웃도드리와 구분하기 위해 밑도드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한문으로는 미환입(尾還入)이라 하고 아명은 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입니다. 저음과 고음을 폭넓게 다루고 있고, 정악의 다양한 주법들을 사용하는 곡이기에 정악의 입문 곡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웃도드리_세환입(細還入)_송구여지곡(頌九如之曲)
밑도드리를 한 옥타브 높게 변주한 곡으로 아명은 송구여지곡(頌九如之曲)입니다. 잔도드리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도드리를 합주할 때는 거문고‧대금은 밑도드리, 피리‧가야금‧ 해금은 웃도드리로 나누어서 연주합니다.

● 현악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_중광지곡(重光之曲)
현악영산회상은 영산회상 또는 거문고회상이라고도 합니다. 선비들이 풍류방에서 즐긴 풍류음악인데 거문고, 가야금, 해금 등 현악기가 중심이 되어 줄(絲)풍류라고도 합니다. 거문고, 가야금은 중요음만 연주하여 그 느낌이 담백하고 단순하여 음악 비전문가인 선비들이 연주할 수 있었고, 대금, 피리, 해금은 가락이 유려하고 화려하여 전문연주가들이 연주하였습니다. 아명은 중광지곡(重光之曲)이며 9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산회상은 전곡을 한 번에 연주하기도 하고 몇 개의 악곡을 따로 떼어 연주하기도 합니다. 매우 느린 상영산에서 시작하여 악곡을 더해갈수록 서서히 빨라지는 구조를 가진 음악입니다.
■ 상령산(上靈山)·중령산(中靈山)·세령산(細靈山)·가락덜이(加樂除只)·삼현도드리(三絃還入)·하현도드리(下絃還入)·염불도드리(念佛還入)·타령(打令)·군악(軍樂)

● Mitdodeuri
Mitdodeuri is a short piece, which is often performed as an ensemble, a duet or a Geomungo solo. The piece is based on dodeuri jangdan that has 6 beats per rhythmic cycle and simply one note is played on every beat. According to its musical structure, Mitdodeuri is an essential practice piece for Korean instruments, the melody is very simple, but this mildnes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music. This is the reason why this piece is famous as a Geomungo or a Daegeum solo.
Dodeuri means not only jandan name, but also a musical structure. The word dodeuri is pure Korean, meaning “to return.” Dodeuri is music for a string and a wind ensemble, taken from Boheoja, court music from the Goryeo period. There used to be a repeated section called hwanip in the Boheosa. Dodeuri was this repeated section, which later developed as an independent piece. Therefore the audience would notice that the melodies in Dodeuri are often being repeated.
There are two kinds of Dodeuri: Utdodeuri and Mitdodeuri.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y are an octave apart. Thus Mitdodeuri is one octave lower than Utdodeuri. The two pieces are played at once as a duet, which creates an interesting effect. In such case, the Geomungo would play the lower part and the Gayageum would play the higher part of Dodeuri.
The atmosphere and tempo resemble a scholar’s reciting his book. It is very relaxing to hear the same melody being repeated over and over in a comfortable rhythm and tempo, each time with a little variation. The overall atmosphere is light, cheerful, and refreshing. Mitdodeuri can be performed in the string ensemble that consists of Geomungo, Gayageum, Yanggeum, Haegeum, Sepiri, Daegeum, Danso, and Janggu. If the orchestra becomes larger (daepyeonseong), then Ajaeng, Jwago, and Sogeum are added, while the Sepiri is replaced by the louder Hyangpiri.

● Utdodeuri
Utdodeuri is a short piece, which sometimes performed as an ensemble, a duet, or a Geomungo solo. This piece is based on the dodeuri jangdan that has 6 beats per rhythmic cycle and simply one note is played on every beat. According to its musical structure, Utdodeuri shows an essential practice piece for Korean instruments. The melody is relatively simple, but this mildnes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
Dodeuri means not only jandan name, but also means a musical structure. The word dodeuri is pure Korean, meaning “to return.” Dodeuri is music for string and wind ensemble, taken from Boheoja, court music from the Goryeo period. There used to be a repeated section called hwanip in the Boheosa. Dodeuri was this repeated section which later developed as an independent piece. Therefore the
audience might hear that melodies in Dodeuri are often being repeated.
There are two kinds of Dodeuri: Utdodeuri and Mitdodeuri.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y are an octave apart. Thus Mitdodeuri is one octave lower than Utdodeuri. The two pieces are played at once as a duet, which creates an interesting effect. In such case, the Geomungo would play the lower part and the Gayageum would play the higher part of Dodeuri.
The atmosphere and tempo resemble a scholar’s reciting his book. It is very relaxing to hear the same melody being repeated over and over in a comfortable rhythm and tempo, each time with a little variation. The overall atmosphere is light, cheerful, and refreshing.

● Hyeonak Yeongsanhoesang
Hyeonak Yeongsanhoesang is performed by the chamber ensemble, which consists of Geomungo, Gayageum, Daegeum, Sepiri, Haegeum, Danso, Yanggeum, and Janggu. Among these string and wind instruments, the Geomungo takes a role of leading instrument. Thus, the piece is also known as Jul (string) pungnyu or Geomungohoesang.
The first piece, Sangnyeongsan of Hyeonak Yeongsanhoesang, begins with a Geomungo solo part. The Geomungo melody develops very slowly and the musical space becomes filled with deep Geomungo sound. The Geomungo solo is followed by a simple and elegant chamber music that delivers the pungnyu philosophy of the literati. Hyeonak Yeongsanhoesang is often performed a Geomungo or Gayageum solo, a string instrument and Daegeum or Danso duet, or a Yanggeum and Danso duet.

● 강은일
한국음악계에서 가장 개성있고 창의적인 연주가로 꼽히는 ‘해금의 디바’강은일은 40년간 국악계에 종사하면서 국악의 대중화·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창작곡 연주를 바탕으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해금을 한국전통음악의 대표적 악기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과 접목을 끊임없이 시도해온 ‘크로스오버 음악’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26회의 독주회 개최 및 4장의 음반을 발매하는 등 전통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전통예술인의 본분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민족 악기들의 이질적인 소리를 해금을 통하여 조화시킴으로써 “동서의 화합과 세계의 조화”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국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음악예술대학 국악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해금플러스 대표, 해금앙상블 활 예술감독, 해금연구회 이사, 전라남도립국악단 운영위원, 강릉아트센터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고 서울돈화문국악당 예술감독, 경기문화재단 이사를 역임하였다.

□ 수상경력
1988 : 동아일보사‘동아콩쿠르 대상’(일반부)
2004 : 대한민국국회‘국회 대중문화&미디어 대상’(전통부문)
2004 : 한국방송공사‘KBS국악대상’(관악부문)
2005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올해의 예술상’(전통부문)
2006 :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전통부문)
2009 : 기독문화예술원 ‘기독교문화대상’(전통부문)
2019 :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예술상’(전통부문)(대통령포장)
앨범 전체 앱에서 듣기